전기제어반(캐비넷형) 내진안전확인 수배전반, 분전함, MCC, 소방MCC 등 캐비넷형 전기제어반이 지진에 대하여 충분히 안전할지 정착부 앵커를 검토하여 확인합니다.


비구조요소 및 건물외구조물 내진설계·검토 대상



전기제어반(캐비넷형) 내진안전확인·검토 특징

'19년 3월 14일자로 제정된 건축구조기준(KDS 41 17 00)에 따라, 건축비구조요소 뿐만 아니라 전기비구조요소도 공사단계에서 내진 안전성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규모나 용도와 상관없이 건물이 내진설계 대상이라면
소방 MCC소방시설은 모두 내진검토 의무대상이며,
소방 기능과 관련없는 전기시설도 건물 기능유지를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검토를 의뢰할 수 있습니다.
건물이 내진[특]등급(중요도 특)에 해당한다면
전기비구조요소의 내진검토 대상 범위는 소방시설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전기비구조요소가 검토 대상이 됩니다.

늦어도 전기 비구조요소 설치 전, 공사단계에서 해당 시공사는
시공계획도면(샵드로잉)에 전기비구조요소 구조안전확인서를 첨부하여 발주처·감리자에게 제출하고 시공승인을 득하여야 합니다.

코어건축구조기술사사무소는 제공받은 자료(검토요청서)에 대하여 적법한 기준에 따라 계산·검토한 후, 안전확인서를 제공합니다.
당사 대표 건축구조기술사(「기술사법」제6조에 따라 기술사사무소를 개설등록한 자)가 직접 계산·검토합니다.





전기제어반(캐비넷형) 내진안전확인·검토 기준

- KDS 41 12 00 『건축구조기준 설계하중』 -
- KDS 41 17 00 『건축물 내진설계기준』 -
- KDS 14 31 『강구조설계기준-하중저항계수설계법』 -
- KDS 14 20 『콘크리트구조 설계(강도설계법)』 등 -





캐비넷형 전기제어반 내진안전확인·검토 소요기간

난이도와 규모에 따라 통상 1~3일 소요.

의뢰시 언제까지 확인서가 필요한지 기한을 적어주시면 사안의 중대함에 공감하여 최대한 일정을 맞추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오후에 의뢰하시면 철야로 다음날 오전까지 납품 가능하도록 협조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비용 추가는 없습니다.





전기제어반(캐비넷형) 내진안전확인·검토 의뢰시 제공하셔야 하는 자료



[ 검토요청서 다운로드 : 한글파일을 직접 다운 ]
[ 검토요청서 다운로드 : 관련 블로그에서 다운 ]

※ 자료 보내실 곳 :





전기제어반(캐비넷형) 내진안전확인·검토 견적기준

기본 타입 1건 : 1백만원 (VAT별도)

추가 타입 1건마다 : 5십만원 (VAT별도) 추가

다수의 장비가 규격(치수 및 중량)과 앵커설치계획이 동일하다면 1건으로 취급하고
검토는 가장 높은 층에 설치되는 것을 대상으로 불리한 조건으로 검토함으로써 장비의 내진 안전성을 높입니다.

검토결과가 불안전하다고 기재된 안전확인서는 의뢰인에게 필요 없겠죠.
코어구조에서는 제공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먼저 무료 가검토를 진행하고,
가검토 결과에 따라 저희가 본검토 착수가 가능한지를 안내해드리며, 의뢰인께 진행할 의사 여부를 확인한 다음에 진행합니다.

※ 도면자료 보내실 곳 :







절차안내

의뢰를 시작부터 안전확인서를 받는 과정까지 소개합니다.

Step.1. 견적신청·도면자료 전송 [의뢰인→코어구조]
          ● 본 화면에 기재된 이메일주소로 자료(상기 '전기제어반(캐비넷형) 내진안전확인·검토 의뢰시 제공하셔야 하는 자료' 참조)를 전송.
          ● 가검토 진행 후, 미흡한 부분이 있다면 이메일 또는 문자로 안내해드립니다.

          ※ 전화 문의/상담은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Step.2. 견적서 전송 [코어구조→의뢰인]
          ● 당사가 수행 가능한 견적금액과 일정을 담은 견적서를 이메일로 회신하겠습니다.

Step.3. 업무의뢰 희망시 연락 [의뢰인→코어구조]
          ● 견적서 내용에 동의하신다면 이메일 또는 견적서상의 전화번호로 연락주시면 바로 착수하겠습니다.
          ● 단, 상당한 기일이 경과 후에는 선 착수된 프로젝트에 의해 일정이 연기될 수도 있습니다.

Step.4. 검토 [코어구조]
          #01. 장비에 작용하는 지진하중 산정
          #02. 정착부 앵커에 작용하는 인발력에 대한 안전성 검토
          #03. 정착부 앵커에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한 안전성 검토
          #04. 정착부 앵커에 작용하는 조합력에 대한 안전성 검토
          #05. 정착부 앵커에 요구되는 인발저항력 산정
          #06. 내진안전성 종합검토 및 확인
          #07. 구조검토서 작성
          #08. 구조검토요약 및 안전확인서 작성

Step.5. 대금청구서 전송 [코어구조→의뢰인]
          ● 입금확인 후, 구조안전확인서와 구조검토서를 의뢰인의 이메일로 전송합니다.





실적

● 카카오데이터센터 신축공사 MCC 및 PDU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
● 프렉스에어...㈜ 천안제2공장 증축공사 MCC 및 수신기 - 충남 천안시 서북구 백석동
● 포항 초곡 공동주택 신축공사 GCP(발전기 운전반) - 경북 포항시 북구 홍해읍
● SK온 서산 배터리3공장 신축공사 전기함류(8속 33종) - 충남 서산시 오토밸리 내
● 대전 선화2차 주상복합 신축공사 소방MCC - 대전시 중구 선화동
● 대전 선화2차 주상복합 신축공사 GCP운전반 - 대전시 중구 선화동
● 포항 초곡 공동주택 신축공사 MCC - 경북 포항시 북구 홍해읍
● 포항 이인지구 공동주택 신축공사 소방MCC - 경북 포항시 북구 홍해읍
● 노원구 공릉동 노유자시설 신축공사 소방MCC - 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 남양주시 진접읍 금곡리 오피스텔 신축공사 소방MCC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 한화 이센셜 F-Project 신축공사 소방MCC - 충남 아산시 아산탕정테크노산업단지
● 힐스테이트 황금역 1,2차 주거복합 신축공사 MCC - 대구시 수성구 황금동
● 대전 선화2차 주상복합 신축공사 소방MCC - 대전시 중구 선화동
● 장위자이 레디언트 신축공사 LV PNL - 서울시 성북구 장위동

※ 상기 외 다수.